관련업계, “출자전환 후 관리” 예상

▲ 2015년 9월 대선조선에서 인도받은 케미컬 탱커선인 부산 파이오니어호. 흥아해운은 지난해 11월 컨테이너 부문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고 현재 케미컬 탱커 사업부문만 남게 됐다.

[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카리스국보와의 M&A가 무산된 흥아해운 잔존법인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출자전환 이후 채권단 관리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흥아해운 잔존법인은 유동성 부족에 따른 경영 정상화를 위해 대주주 감자나 주식소각 후 채권단의 출자전환이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흥아해운 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카리스국보와 M&A가 무산되기 전, 무자본 M&A일 경우 채권단과의 약속을 져버리고 경영권 매각을 시도한 대주주에 대해 감자나 주식 소각을 단행할 것이라고 공표한 만큼 그대로 진행이 될 것”이라며, “이후 일반적인 기업 구조조정 방식처럼 채권단의 출자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흥아해운의 대주주가 채권단에 제출한 확약서에 '보유 주식의 감자나 완전소각을 단행할 것'이란 내용이 담겨 있다는 점을 공표한 바 있다.

해수부의 공표대로 대주주의 주식이 소각되면 이후 곧바로 채권단측은 흥아해운의 채무 재조정과 출자전환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흥아해운의 채권단은 현재 산업은행이 주채권은행이며, 수출입은행과 부산은행 등이 있다.

채권단의 출자전환 이후 자금 투입,방식은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기업구조혁신펀드’를 활용해 흥아해운의 유동성 부족분을 해소할 것이라는 전언이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책금융기관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포함해 민간금융기관과 공동으로 기업 구조조정 지원을 위해 조성한 한 민·관합동펀드이다.

채권단과 흥아해운은 지난해부터 흥아해운이 컨테이너 부문 물적 분할 이후 잔존법인의 유동성 악화 해소를 위해 자금 지원 규모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던 사안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당초 유동성 지원을 위해 600억 원 정도 투입하기로 지난해 3월 논의가 됐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지원규모에 대해 협의를 해왔는데, 대주주 경영권 매각 해프닝 사태가 발발하고 지원방안 논의가 중단됐었다”며, “M&A가 헤프닝으로 끝났으니 지원 규모는 더 줄어들겠지만 이를 활용해 흥아해운 잔존법인을 지원하는 것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흥아해운 소식에 정통한 또 다른 관계자도 “현재 흥아해운의 자산 중 필리핀 수빅부지에 대해 채권단이 어느 정도로 가치를 평가할지가 지원규모의 관건이 될 것 같다”며, “어찌됐든 개도국 특성상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은데, 주채권은행이 국책은행(산업은행)인만큼 잘 평가해 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흥아해운이 채권단의 출자전환으로 채권단 관리를 받게 되면 1999년 법정관리 졸업 후 21년만에 제3자 관리 체제로 회귀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회사의 첫 번째 위기는 법원이, 두 번째 위기에는 은행이 수습하면서 흥아해운의 명맥을 이어주게 됐다”며, “특히 이번 사항은 구조조정을 주도했다는 해수부가 스스로 위기만 키워놓고 도대체 무얼 한 것인지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