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BPT컨소시엄 간 협상 아무 소득 없이 종료

 

부산항만공사(BPA)와 부산신항 2-5단계 터미널 운영사 우선협상대상자인 BPT·HMM컨소시엄 간 최종 운영 협상이 지지부진 한 가운데, 운영사 재공모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해운항만업계에 따르면, BPA와 부산신항 2-5단계 터미널 운영사 우선협상대상자인 BPT·HMM컨소시엄 간 최종 협상기한이 지난달 20일 종료됐다. 양사는 협상기한이 무기한 연장된 이후 11일 현재까지도 아무런 진전없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BPA는 BPT컨소시엄을 우선협상자로 선정한 이후 '서컨테이너 개장 준비협의회'를 구성해 운영 협상을 진행했지만, 양측간 물량 확보방안과 선석 반납 등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당초 최종협상 시한은 지난 4월 20일까지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해 이후 한달여 기간에 걸쳐 추가로 협상을 벌였다. 하지만, 추가 협상테이블에서도 양측간 이견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BPT 관계자는 “협상기한을 넘긴 현재까지 BPA로부터 어떠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전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은 신항으로의 물량 이전과 BPT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북항 선석 일부의 반납에 대한 내용이다.

BPA는 BPT측에 신항 물동량 확보를 위해 2-5단계 터미널이 개장하면 기존 북항에서 처리하던 물량 100만TEU를 신항 터미널로 이전할 것을 요구했지만, BPT측에서 이를 거부했다. BPA는 또 DPCT와 통합 이후 운영 선석 중 2개 선석을 반납할 것을 요구했고, BPT측은 이 또한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협상에 난항을 보이고 있는 것.

BPT 관계자는 “DPCT와 통합 후 운영 계획을 갖고 있었는데, BPA가 2-5단계 터미널 개장 후 신항으로 물량을 이전하고 선석도 반납하라고 하는 등 무리한 요구를 해오면서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다”고 설명하고는, “물량 확보가 해결이 돼야 부산항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에는 공감을 하지만, 선사들의 항로를 옮기라고 하고 선석을 반납하라는 요구는 무리한 것으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특히, BPA가 BPT를 비롯한 북항통합법인이 반납한 선석을 두고 운영사 공모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는데, 해당 선석을 2022년 계약이 끝나는 허치슨을 염두해 둔 것이라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양측 간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BPT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협상에서 BPA가 신항 물량 부족을 우려해 항로를 전배 조치하라고 했다가 반발하자, 이후 북항 선석을 반납해 부두 공급을 조율하겠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는 (부두를) 놀릴 수 없으니 새 운영사를 선정하겠다고 했다”며, “2022년에 계약이 끝나는 허치슨과 행정소송 등의 문제가 얽혀 있으니, (이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허치슨에 선석을 내주려고 하는 것이 아니면 무엇이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정부 정책에 동참해 통합을 일궈낸 운영사의 선석을 강제로 반납시키고는, 정책에 동참하지도 않은 운영사에는 혜택을 주겠다고 하니 BPT도 DPCT와 추가적으로 통합할 이유가 없어져 버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측의 입장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은 가운데, 코로나19발 물량 급감 우려로 2-5단계 터미널 개장 연기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해수부와 BPA가 2-5단계 운영사를 재공모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부산항을 중심으로 2-5단계 운영사를 재공모 할 것이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2-5단계의 임대료가 높은데다 개장시기 연기 문제도 있고, BPA 지분 출자에 대해서도 여론이 좋지 않아 운영조건이 변경돼야 한다는데는 공감한다”며, “다만, 지금까지 협상과정을 살펴볼 때 이대로 우선협상자 선정을 해지해 버리면 BPT컨소시엄측도 행정소송으로 맞설 수 있다”고 말했다.

BPA측은 BPT 컨소시엄과의 우선협상자 해지 및 2-5단계 터미널 개장 연기 등의 이슈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BPA 관계자는 “현재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논의 중이며, 아직 아무 것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