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물량 미달로 MRG 보상액 못 받아…올해 수 십억 원 손해 예상

-항만업계, “운영사에 불합리한 계약구조로 동방만 피해”
-해수부, “일부 선석 다목적 부두 전환으로 해결”

[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국내 MRG 부두 중 하나인 평택아이포트의 사업시행자 겸 운영사인 동방이 지난해 계획물량을 처리하지 못해 MRG 보상액을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 및 항만업계에 따르면, 동방은 자사가 운영하고 있는 MRG 부두인 평택아이포트에서 지난해 약 11만TEU를 처리, 계획물량인 13만TEU를 채우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로부터 올해 MRG 보상액을 한 푼도 받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방은 평택아이포트의 주주이자 운영사로, 계약상 부두개발에 소요된 금융권의 이자와 원금상환 등은 운영사가 책임지게 된다. 따라서, 올해 MRG 보상액을 받지 못하면 동방측에서 금융 이자 및 원금 상환을 책임져야 한다.

문제는 개장 이후부터 평택항에 물동량이 거의 없음에 따라, MRG 보상액을 받더라도 추가로 자체 조달해 금융권에 자금을 상환했던 동방에서 이 마저도 받지 못하면 추가 부담에 대한 이중고를 겪게 된다는 것.

동방은 국내 항만업계의 부두공급 과잉 및 낮은 하역요율로 지난해 약 100억 원 가량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동방 관계자는 “지난 2010년 개장 이후 겨우 물량을 채워 MRG를 약 40억 원 가량 받게 되면 40억 원을 자체 조달해 평택아이포트에 보장을 해 해당 법인에서 금융권에 자금을 상환해 왔는데, 올해 이를 받지 못하게 되면 약 80억 원을 동방에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 굉장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평택항에서 기본 요율이 TEU당 5만 원대 임을 감안해 평택아이포트가 11만TEU를 처리했다면, 기본적으로 벌어들인 돈 대부분은 항운노조 임금 및 유지보수비, 유류비 등 직접 원가로 소요된다”고 설명하고는, “금융권에 이자를 메울 수 있는 자금이 남지 않으니 물동량이 없으면 (부두를)운영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항만업계는 동방이 이 같은 어려움을 겪게 된 가장 이유로 한·중 항로 완전개방이 무산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와 평택아이포트는 당초 한·중 항로 완전 개방으로 평택항의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해 실시협약을 체결했으나, 개장 직전 개방이 무산돼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06년 ‘제2차 항만개발수정계획’에서 한·중항로 개방을 반영해 물량을 예측했지만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개방을 잠정 유보했다. 이후 2011년 ‘제3차 항만개발계획’에서는 항로 완전개방이 무산됨에 따라, 평택항의 물량 계획을 2차보다 60~70% 가량 다운시킨바 있다.

하지만, 당시 정부는 평택항의 물동량을 감소시켜 반영해 줬지만, 평택아이포트에 대한 계획물량은 수정해 주지 않았다. 평택아이포트는 한·중 항로 개방을 약속한 이후인 2005년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2010년 개장했다.

또 다른 항만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실시협약 당시 항로 개방으로 평택항에 추가 항로개설을 염두에 두고 계획물량을 반영했지만, 해운위기 여파 등으로 항로 개방을 잠정 유보했다”며, “정부의 정책에는 항로 개방 무산에 대한 물량을 반영해 놓고, 유보 계획을 발표하기 이전에 계약한 평택아이포트에 대해서는 물량을 수정해 주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평택아이포트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내에 운영하는 선석 중 일부를 다목적부두로 전환해 잡화물량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방침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평택항이 전체 부두능력대비 잡화물량이 많으니, 평택아이포트에서 운영하는 3선석 중 2선석을 다목적부두로 올해 내에 전환시켜 줄 것”이라고 밝히고는, “다목적 부두로 전환하면 물량 부족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는 정부의 다목적부두 전환 계획은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으로는 사업 재구조화를 추진해야만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평택아이포트는 현대산업개발이 23.75%를 보유한 대주주로, 산업은행(15%), 남성해운(10%), 동방(10%), 두우해운(7%), 범주해운(5%), 태영상선(5%), 수협(3%), 사모펀드인 KIF2(20%) 등이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