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선사들 출자에 부정적…BPA만 71억 원 출자

 

[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부산항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산북항 통합법인에 부산항만공사(BPA)와 국내 근해선사업계가 공동 출자키로 했던 당초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 말, BPA는 예정대로 통합법인에 출자했으나, 선사들은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으며 향후 출자에도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BPA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BPA는 지난달 27일 신선대와 감만 통합법인인 ‘부산항터미널주식회사(BPT)’에 71억 원의 현금을 출자, 지분을 11%를 확보했다.

BPA 관계자는 “지난해 말 우리 공사에서 우선적으로 자본금을 출자했으며, 근해선사들은 각 업체별로 출자액을 어떻게 정할지 결정되지 않았으며, 대주주인 장금상선의 추가 출자여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해 올해 연말까지 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BPA의 출자로 BPT의 자본금은 기존 570억 원에서 641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지분구조는 장금상선 43%, CJ대한통운(KX홀딩스) 42%, 기타(차이나쉬핑, KCTC, 국보, 한진, 독부익스프레스 등) 15%에서 장금 40%, CJ대한통운 38%, 기타 11%로 변동됐다.

부산항 경쟁력 강화와 근해선사들의 안정적 선석 확보를 위해 지난 2016년 12월 출범한 BPT는 자본금 1,000억 원을 목표로 고려해운과 흥아해운, 천경해운 등 14개 근해선사와 BPA가 각각 100억 원씩 출자를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실사가 진행되면서 1,000억 원에서 712억 원으로 규모자 축소됐으며, BPA와 근해선사 양측은 지난해 말까지 각각 10%에 해당하는 71억 원씩을 투입키로 했었다.

이 같은 계획대로 BPA는 지난해 말 BPT에 71억 원을 투자했지만, 근해선사들은 자금사정을 들며 참여를 꺼리고 있다.

자본금을 출자키로 했던 A선사 관계자는 “올해 연말까지 근해선사들이 자본금을 출자키로 했다고는 하나, 선사들이 BPT에 자본금 출자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며, “(출자를)왜 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들이 대부분이라서 논의조차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사들이 자금사정도 좋지 않고 필요성도 못 느끼다 보니 차일피일 지분 참여를 미루고 있었던 것인데, 올해라고 사정이 달라지겠느냐”고 말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도 “71억 원을 투입하는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장금상선이 BPT의 1대 주주가 된 상황에서 장금과 경쟁사인 나머지 선사들이 왜 소량의 지분을 확보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대부분이다”며,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경쟁선사의 터미널에 기항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BPT에 자금을 투입하면 현 상황에서는 장금에만 이익이 될 것이 뻔한데 어떤 선사가 돈을 투입하겠느냐”고 반문했다.

통합 방향이 당초 계획과 변경된데다, BPT가 하역요율을 올려 안정적으로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현 상황도 근해선사들의 자본금 투입을 꺼리게 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때문에 근해선사연합인 KSP(한국해운연합)는 BPA에 국적선사의 하역료를 인하하는 조건으로 북항 터미널의 임대료를 인하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B선사 관계자는 “당초 북항 전체를 통합해 출범할 경우 독점 문제로 인해 방어차원에서 자본금을 출자키로 했는데, 현재는 다른 터미널(동부동원, 허치슨터미널)이 있지 않느냐”면서, “항만업체가 터미널 운영사의 대주주일 경우 선사들에게 과도하게 요율을 올릴 것을 우려해 출자를 하자고 했었는데, 선사이자 대주주인 장금상선이 하역요율을 올리고 있는데 자금을 출자하고 싶은 선사가 어디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때문에 당장 근해선사들에게 큰 이득이 되지 않는 BPT에 자금 출자를 강요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임대부두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롤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항만 전문가는 “터미널 운영사는 선사에 항상 ‘을’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 터미널 야드를 창고처럼 쓰는 등 비정상적인 부분이 많다”며, “그러다보니 항만업체들이 터미널 사업에서 손을 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반쪽짜리 통합법인에 선사들 지분 참여를 강요하는 것보다는 30년, 50년을 안정적으로 끌고 나갈 수 있는 항만업체나 안정적인 터미널 운영 모델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