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공기업에서 비위문제가 끊임없이 터진다는 것은 그만큼 이권이 많다는 의미이다. 대부분의 공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지만, 부산항만공사(BPA)처럼 연이어 터진다면 감시체계가 엉망이기 때문인데 숱한 일을 겪고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개선의지가 없다고 봐야한다.”

최근 BPA의 채용청탁 비위와 관련해 한 정부부처 관계자가 한 말이다. BPA는 그동안 뇌물수수, 출자회사 낙하산 인사, 용역회사 채용 청탁에 이어 이번에는 항운노조에 채용청탁을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BPA와 같이 이렇게 좋지 않은(?) 수식어들로 장식된 공기업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BPA의 초창기 사건은 차치하고라도 최근 10년간 굵직한(?) 사건들로만 살펴보더라도 낮뜨거운 일들이 가득하다. 우선 2015년 부산신항 배후부지 개발 뇌물수수 혐의로 공사 전현직 간부들이 구속됐다. 이후 2017년에는 부산항 항만물류정보시스템 구축사업과 RFID 기반 항만출입체계 개선사업 뇌물수수 혐의로 직원이 구속됐다. 2018년에는 용역기관이 부산항시설관리센터에 자녀들을 부당채용했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은 것도 부족해 최근에는 항운노조에 친인척들을 채용했다는 혐의까지 받고 있다.

잊을만 하면 어김없이 비위사건이 터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련업계에서는 BPA를 두고 ‘참 대단한 조직(?)’이란 자조섞인 한탄이 나오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BPA가 얼마나 대단한 조직이기에 이러나 하고 있다가, 한편으론 뇌물수수나 채용비리 등의 사건이 터지는 것을 보면 권한이 막강하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면서, “퇴직을 앞둔 임원들은 출자회사에 낙하산으로 보내주는데 요즘같이 일자리 구하기 어려운 시기에 부럽기까지 하다”고 비난했다.

국내 4대 항만공사 중 유일하게 BPA는 비위사건이 끊임없이 터지고 있다. 그 이유가 뭘까. 전문가들은 조직 관리가 안되는데다, '그정도는 괜찮다'는 안일한 분위기가 팽배해 있고, 결과적으로 사내 처벌이 솜방망이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몇 년전 배후부지 비리사건이 터진 직후, 낙하산 근절을 위해 임직원 행동강령까지 개정했지만 바뀐 것은 전혀 없다. BPA는 그 이후에도 현재까지 꾸준히 낙하산 인사를 내려보내고 있다. 일각에선 그 뻔뻔함에 혀를 내두를 정도다.

게다가 공기업 특성상 이권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대한 감시체계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스스로도 개선할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때만 되면 어김없이 비위행위들이 적발될 수 있겠는가.

정부부처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이권이 많은 조직은 직원들의 감시체계를 분명히 해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스스로 자정노력을 한다”면서, “수사가 종결됐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닌데, 그럭저럭 넘어가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보니 도덕성이 무뎌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때문인지 지난 1년간 비위사건이 없었음에도 기획재정부는 BPA의 윤리경영 점수를 '미흡'에 해당하는 D보다 한 단계 높은 D+를 줬다. 또, 권익위가 평가하는 외부청렴도도 4등급을 기록하는 등 상급기관으로부터 낙제점 가까운 평가를 받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신임 사장이 주력하는 사항 중 하나가 청렴도 개선이라고 하는데, 지속되는 낙하산 인사나 연일 터지는 비위사건 등 외부에서 기관을 보는 시선도 좋지 못하고 공기업이라고 일부 직원들이 행하는 권위적인 태도 역시 개선되지 않고 있다”면서, “직원들 윤리교육이나 청렴교육을 한다는데, 그 시간에 다들 주무시는지 전혀 개선된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부처 관계자도 “청렴도 개선의 경우 설문조사 형태로 이뤄지는데, 단기간에 개선하긴 어렵고 시스템을 갖추고 직원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등 오랜 노력을 통해 끌어올리는 것”이라며, “본인들 스스로 낙하산 인사를 근절하고 체계를 갖추는 등 노력해서 이뤄내는 성과인데, 공직자 출신인 신임 사장이 이를 모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위사건에 대한 수사가 어떤 식으로 종결됐는지 BPA가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상한 부위를 도려내지 않으면 몸 전체가 썩어간다. 온갖 비리와 편법으로 얼룩져 조직이 썩어 가는데 허상뿐인 '글로벌 허브항만'을 만든들 무슨 소용이 있을지 답답할 뿐이다. 신임 사장의 단호한 결단만이 오명으로 얼룩진 BPA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