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들이 자금압박으로 사모펀드에 내다 팔땐 가만히 있어놓고 이제와 정책금융을 투입해 되사겠다는 것이 말이 됩니까?”

“국가 에너지전용선대가 해외로 유출되게 생겼는데 정책금융이라도 투입해 지켜야할 것 아닙니까?”

현대LNG해운에 대한 정부의 정책금융 투입 여부를 놓고 관련업계의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연일 폭등하는 공공요금으로 국민적 불만이 팽배한 가운데, 국가의 에너지전용 선대 해외유출은 그 어느 때보다 민감한 사항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국가 전략화물 수송선사가 현대LNG해운만 있는 것도 아닌데 정책금융을 투입해 매각가보다 월등히 높은 세금을 들여 되사줄 이유도 없을 것이다.

다만, 가스공사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략화물 전용선대 대다수가 사모펀드에 메어 있는 현실 속에서 해외매각을 놓고 벌이는 작금의 논란에는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 

기자가 기억하기론 해운위기 당시, 현대상선(HMM)과 한진해운이 전략화물 전용선대를 떼어 팔기 직전에도 가스공사가 전용선대에 대한 고민을 했었다. 당시 가스공사의 LNG선을 수송할 수 있었던 선사는 총 5개 기업(한진, 현대, 팬오션, 대한해운, SK해운)이었다. 이중 팬오션과 대한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전용선대의 선박이 일시적으로 압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가스공사측에서 선사들에게 공동 출자 형식을 제안했지만, 선사들은 거부했다.

표면적으로는 가스공사 자회사로 낙하산 인사를 내세울 것이란 이유였지만, 실제로는 지분만 보유한 채 운항을 한다면 매출이 잡히지 않는 등 선사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가스공사의 물량이 메리트가 그리 크지도 않았다고 한다. 선사들이 운항수익을 높이면 이는 곧바로 가스비 인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쉽사리 운송료를 올릴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이 이어져오다 해운위기를 겪으며 대다수 전략물자 선대는 사모펀드로 매각됐다. 현재 매물로 나온 현대LNG해운도 현대상선(현 HMM)이 LNG수송선대를 떼어내 사모펀드인 IMM에 매각한 회사다.

현대LNG해운은 현재 실자산이 2,000억 원 가량 되지만, 시장에선 매각가가 너무 높다는 평가가 많다. 매입 당시 계약들은 거의 종료된데다 현존하는 계약들도 대부분 3년  후에는 종료되는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다.

만약, 그동안 인수의향을 내비쳤었던 HMM이 해당 업체를 재인수 한다고 가정하면 가스공사가 종료된 계약에 대해 일부는 연장해 줄 수 있고, 2030년까지 LNG 수송금지에 대한 약정은 해지될 것이다. 그렇지만, HMM은 부산신항 4부두(HPNT)를 되살 때와 같이 IMM에 또다시 매각 당시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할 것이다.

일각에선 전략물자 전용선대의 해외매각이 우려되니 정책금융을 투입해서라도 지켜야 한다고 하는데, 계약기간 종료시점이나 자산규모를 놓고 봤을 때 사모펀드에 그만큼의 대가를 지불해야 되는지 의문부호가 붙는다.

국가가 키워놓은 가스공사의 전용선대가 사모펀드로 넘어갈 동안 아무런 안전장치가 없었다는 점은 아쉽다. 하지만 특정선사에게 정책금융을 지원해 선대를 인수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회사가 어려워지면 또다시 선대를 매각하지 않을 것이라 장담할 순 없을 것이다.

정부가 거액을 투입해 시장가보다 높은 가치를 매겨 전용선대 선사들을 인수해 줄 이유는 없다. 하지만, 국가 전략화물에 대한 관리방안 등 제도적 정비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관련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고 했다. 쉽진 않겠지만, 전략화물 전용선대 대다수가 사모펀드에 의해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현 시점이 이를 정비할 수 있는 적기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