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 처리량 300만TEU로 현재 인천항 전체 처리량의 절반 수준 /
기존 운영사 교통정리 안되면 '과열경쟁' 가능성 높아

                                                                                         인천신항 1-1단계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인천신항 1-1단계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한 차례 유찰로 운영사 선정 재공모가 진행 중인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 터미널 개장을 놓고 공급과잉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IPA) 및 항만업계에 따르면, 최근 인천신항 1-2단계 부두 운영사 선정 모집 공고 결과, 아무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내달 7일까지 재공고를 진행 중이다. 오는 2027년 개장 예정인 해당 부두는 선석길이 1,050m에 총 138만TEU(정부 추정치)를 처리할 수 있다.

당초 인천남항에 ICT를 운영하고 있는 PSA가 인천항에서 '컨'부두 기능을 신항으로 이전해 감에 따라 국내 선사들과 컨소시엄 형태로 입찰에 참여할 것이 유력하게 점쳐졌었다. 하지만, PSA는 높은 임대료에 대한 부담으로 응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신항 1-2단계는 기존 1-1단계 임대료가 연간 100억 원 가량인 것에 비해 420억 원이라는 월등히 높은 금액의 임대료가 책정돼 있다. IPA는 이번 재공모에도 임대료 수준을 기존 조건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련업계에선 PSA가 현재 진행 중인 재공모에 단독으로 입찰에 참여하진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부산신항 서컨테이너 부두 임대료가 378억 원(장비 이용료 제외)인 것과 비교해도 인천신항 1-2단계 터미널 임대료는 너무 비싸다”며, “PSA와 같이 참여하려 했던 선사들도 자유롭게 인천신항을 이용할 수 있는데, 굳이 비싼 터미널에 들어갈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PSA가 이번 재공모에 참여하지 않고 기존 남항 ICT를 운영하는 상황에서 인천신항 1-2단계가 개장된다면 과잉공급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지난해 인천항 ‘컨’물동량은 319만TEU이다. 이중 한·중카페리 물량이 40만TEU로 ‘컨’전용 부두에서 처리하는 물량은 실질적으로 280만TEU 가량이다. 지난 수년간 인천항 '컨' 물동량 처리량을 보면 물량이 꾸준하긴 하지만 큰 폭으로 늘어나진 않는다.

현재 인천신항 터미널을 운영중인 한진과 선광이 각각 120만TEU 가량을, 남항에서 PSA가 85만TEU, E1이 35만TEU를 각각 처리할 수 있다. 다만, E1은 1-2단계 개장 이후 ‘컨’ 영업을 포기하기로 결정해 남항에서는 ICT만 남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인천신항이 240만TEU를 소화하고 여기에 더해 1-2단계가 개장돼 150만TEU를 처리할 경우, ICT까지 가세할 시 500만TEU 가까이 대폭 처리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인천항 전체 처리량(약 350만TEU)에 비해 150만TEU 가량의 부두 처리 능력이 남게 된다.

인천항 관계자는 “인천항은 물량이 크게 늘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2026년에도 비슷한 수준일텐데, 3년 후 물량이 조금 늘어난다고 해도 연간 처리량이 인천항 전체의 절반에 달하는 큰 터미널이 개장된다면 기존 남항을 정리해도 부두가 남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E1은 인천신항 1-2단계 개장 이후 ‘컨’영업을 포기하기로 했으나, 운영기한이 한참 남은 ICT는 신항으로 이전하지 못할 경우 살아남기 위해 무리한 영업을 강행할 수 있다”며, “특히 본사의 자본력을 등에 업은 GTO들이 국내 항만에서 어떤 제스쳐를 취했는지 생각한다면 PSA도 그리 다르진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같은 공급과인 우려에 IPA측은 해법을 찾기 위해 고민을 하고는 있지만, 운영사 선정 공모가 진행 중인 관계로 지금 당장 결정을 내리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IPA 관계자는 “E1은 1-2단계가 개장하면 남항에서 ‘컨’영업을 접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한 상태고, ICT의 경우 자동차부두로 전환한다거나 하는 고민도 했었던 것 같다”며, “운영사 선정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아직 1-2단계 운영사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남항 기능에 대한) 결론을 내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