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운노조 비리 연루 간부, 이달부터 BPT 상근고문으로 출근/
관련업계, "모럴헤저드 최고조" 비난 빗발

부산항운노조 취업비리 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았던 부산항만공사(BPA) 간부가 이달부터 부산항터미널(BPT) 상근고문으로 재취업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전직 임원이 뇌물 요구만으로도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것과 대조를 보이면서 BPA에 대한 관련업계의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BPA 및 항만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로 부산북항 BPT 상근 고문으로 BPA 1급 퇴직자인 A씨가 채용돼 4일부터 출근하고 있다.

A씨는 지난 2021년 12월 부산항운노조에 동생과 처남 등 친인척 3명을 부산항에 취업시키고 2,000여만 원의 금품을 건넸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BPA는 자체 감사에서 A씨가 취업청탁 의혹과 관련해 3건 중 1건을 인정했는데, 청탁과 함께 2,000여만 원의 금품을 건넸으나 항운노조측에서 돈을 돌려줬다고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BPA는 공소시효 만료로 현행법상 처벌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면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도 않고서는 이듬해 1년간 부산대 ‘공기업 리더십 과정’에 연수를 보내기로 하는 등 ‘황제 문책’으로 업계의 공분을 산 바 있다.

A씨가 현재 재취업에 성공한 BPT는 BPA가 지난 2018년 말 10% 지분을 확보한 출자회사로, 출자 이후 곧바로 상임감사에 BPA 퇴직인사를 줄곧 보내왔다. A씨는 BPT에 낙하산으로 간 3번째 인사로, 앞선 낙하산 인사들이 2년 임기인데 반해 A씨는 상임 고문으로 3년간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BPA는 비위사건이 불거질 당시 A씨의 직책이 감사실장이었음을 의식했는지, 줄곧 낙하산 인사를 내려보냈던 BPT의 상임 감사직을 지난달 말 비상임감사로 전환시켜 BPA 기획조정실장이 겸직하게 하고, A씨는 상임고문으로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항 관계자는 “BPT 주주협약서에 BPA가 특정직책에 인물을 선임하겠다는 규정이 명시되지 않으면서 기존 상임감사직을 슬그머니 비상임감사로 전환하고 고문직책을 만드는 꼼수를 쓴 것으로 알고 있다”며, “BPT 주주 모두 BPA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입장들이다 보니 주주총회에서 결정된 사항을 따를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모든 출자회사는 물론, 위탁업체로까지 낙하산 인사를 내려보내고 있는 BPA에 대해 모럴헤저드가 극에 달했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인천항만공사(IPA)의 경우 전직 임원이 뇌물을 요구했으나 받지 못해 미수에 그쳤지만 '뇌물요구죄'가 성립돼 검찰 수사를 받는 것과도 대조적이라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청렴과 투명, 공정이 요구되는 공공기관에서 직업윤리의식이 결여된 체 비위가 확인된 사람도 ‘입사에서 정년까지’ 자리를 보장해주는 BPA의 몰지각한 행태에 대한 업계의 반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부산신항이나 다른 출자회사들도 마찬가지겠지만 BPA가 우월적 지위에 있다보니 대놓고 반대를 할 수 없는 상황인데, 이는 사실상 ‘갑질’로 비춰진다”며, “비위자까지도 입사에서 정년까지 챙겨주는데 BPA 설립때 입사하지 않은 것이 한스러울 정도”라고 비판했다.

법조계 한 관계자도 “공소시효가 지났고 줬던 돈을 돌려 받았다고 죄가 없는 것이 아닌데 기관이 비위자를 옹호하고 그런 비위자를 형식적인 공모과정을 거쳐 자회사에 취업을 알선하는 것은 비위자 옹호를 넘어 비위를 조장하는 것”이라며, “기관에서 이러한 태도는 조직원들에게 비위에 대한 안일한 감정을 심어줄 수 있는 등 심각한 문제인데, 기관이 이 문제를 바로잡을 생각이 없으면 상위부처에서, 그것도 안되면 윗선에서라도 나서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BPA측은 BPT의 상임감사직이 비상임감사로 전환된 것은 맞지만 A씨 취직과 관련해선 개인적인 일로 치부했다.

윤지현 BPA 국민소통부장은 “A씨는 지난해 11월 15일부로 퇴직했으며, BPT 감사는 현 기획조정실장이 비상근으로 맡고 있다”며, “퇴직한 A씨는 사기업에 개인이 임의로 취업한걸로 확인된다”고 전했다.

한편, 현재 부산신항 3부두, 5부두를 비롯해 BPA 출자회사 및 위탁회사 등에 취업해 현직에 있는 인물들 대다수가 BPA의 전신인 '컨테이너부두공단' 출신들로 확인되면서 조직 내에 특정 ‘이권 카르텔’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